다가오는 가을, 소비자의 지갑을 채우고 지역 경제를 살리는 또 하나의 민생 정책 상생페이백이 시행됩니다. 지난 5월 국회를 통과한 1차 추경을 통해 확정된 이 사업은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상생페이백 정책 개요
상생페이백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시행됩니다. 전년도 대비 카드 소비가 증가한 경우, 증가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월 최대 환급액은 10만 원이며, 석 달 동안 최대 3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 기간: 9월 ~ 11월
- 환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환급 한도: 월 10만 원, 최대 30만 원
- 사용처: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등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혜택
상생페이백은 단순한 환급 정책을 넘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남상인연합회장은 이를 두고 “빛과 소금 같은 정책”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전통시장은 지역 특산물과 향토음식뿐 아니라, 정과 인심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상생페이백의 효과가 더욱 빛을 발할 전망입니다.
상생소비복권, 또 하나의 즐거움
상생페이백과 함께 상생소비복권이 운영됩니다. 비수도권에서 소비 시 최대 2000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는 이벤트로 총 2025명이 당첨 혜택을 받습니다.
등수 | 당첨 인원 | 당첨금액 |
---|---|---|
1등 | 10명 | 2,000만 원 |
2등 | 50명 | 200만 원 |
3등 | 600명 | 100만 원 |
상생소비복권은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결제 누적액 5만 원당 1장의 응모권이 부여됩니다. 최대 10장까지 참여할 수 있으며, 신청은 상생페이백.kr에서 진행됩니다.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
신청 기간 및 방법
상생페이백은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 자정까지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첫 주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자격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으로 작년 카드 소비실적이 있는 국민과 외국인 등록증 보유자가 신청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 지원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 국민·우리·농협은행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과 사용처 안내
상생페이백 환급은 사용 실적이 인정되는 매장에서의 카드 결제액을 기준으로 하며, 지급일은 다음 달 15일입니다. 지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5년 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 실적 인정: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등
- 실적 제외: 대기업 직영 프랜차이즈, 온라인몰, 배달앱(단, 만나서 결제는 포함)
- 법인카드, 해외 소비, 현금 이체는 제외
마무리 한마디
상생페이백은 단순 소비 지원이 아닌, 지역 상권 회복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종합 민생정책입니다. 특히 소비자 혜택과 소상공인 지원을 동시에 담고 있어 경제 회복의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