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다양한 공제 항목입니다. 특히 보험료 공제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으면서도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영역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연금저축보험, 보장성보험, 의료비 세액공제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 보험 공제’를 전문가 관점에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올해 얼마나 환급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
연말정산은 근로자가 1년 동안 납부한 소득세를 실제 소득과 공제를 기준으로 다시 정산하는 과정입니다. 납부 세금이 많으면 환급받고 적으면 추가 납부하게 됩니다.
공제를 잘 활용하면 ‘13번째 월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연말정산 보험료 공제 항목 ①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연금저축보험은 노후 대비뿐 아니라 ‘세액공제 혜택’까지 제공하는 대표적인 절세계좌입니다.
세액공제 한도 및 공제율
| 구분 | 내용 |
|---|---|
| 연간 납입 가능액 | 최대 1,800만원 |
| 세액공제 대상 납입액 | 최대 600만원 |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6.5% 공제 |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3.2% 공제 |
예를 들어 총급여 5,500만원 이하 근로자가 600만원을 납입했다면 최대 99만원까지 절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보험료 공제 항목 ② 보장성보험 세액공제
보장성보험은 질병, 상해, 사망 등 위험에 대비하는 필수 보험으로,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공제 한도 및 공제율
| 구분 | 내용 |
|---|---|
| 공제 대상 보험료 | 연간 100만원까지 |
| 세액공제율 | 13.2% |
| 최대 절세 가능액 | 13만 2,000원 |
부양가족 공제 요건
- 나이 요건: 배우자 제한 없음, 부모 60세 이상, 자녀 20세 이하
- 소득 요건: 연 소득 100만원 이하(근로소득만 있으면 총급여 500만원 이하)
특히 자동차보험은 대부분 가입하고 있기 때문에 공제를 놓치지 않도록 확인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보험료 공제 항목 ③ 의료비 세액공제
의료비는 총급여의 3% 초과분에 대해 15% 세액공제를 적용받습니다.
의료비 공제 계산 예시
| 항목 | 금액 |
|---|---|
| 총급여 | 5,000만원 |
| 의료비 지출 | 200만원 |
| 공제 대상 | (200만원 – 150만원) × 15% |
| 세액공제 금액 | 75,000원 |

연말정산 보험료 공제 FAQ
Q. 연금보험도 공제되나요?
아니요. 연금보험은 세액공제 대상이 아니며 연금 수령 시 비과세 혜택이 있는 상품입니다.
Q. 보장성보험은 어떤 보험인가요?
사망, 상해, 입원 등 위험이 발생하면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이며, 실손·암·종신보험 등이 포함됩니다.
Q. 실비 청구한 금액은 공제되나요?
아니요. 실손보험금으로 보전된 의료비는 공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마무리 – 올해 연말정산, 보험 공제부터 점검하세요
연금저축보험·보장성보험·의료비는 많은 근로자가 적용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보험 공제 항목입니다.
특히 실손·자동차보험 등 평소 자동 납부되는 보험료를 놓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올해는 반드시 항목별로 확인해 절세 효과를 극대화해보세요.